반응형
오늘 오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하였습니다.
0.25%인상이고 빅스텝은 아직 하지 않았지만 여지를 두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0.25%가 기본적인 상승률이고 빅스텝은 0.5%, 자이언트스텝은 0.75% 상승을 말합니다)
물가상승과 인플레이션을 잡을려고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자 우리나라도 선제적으로 인상을 하고 있습니다.
금리인상의 목적인 물가상승, 인플레이션이 잡힐지 양극화가 심화되는 시발점이 될지 지켜봐야겠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양극화가 심화되는 시발점이 되어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토론이 활발해질거 같습니다.
(자유방임주의, 수정자본주의, 신자유주의가 나올때 나왔던 여러 말들 처럼요)
美연준 "두어번 더 0.5%P 금리인상해야…긴축적 정책 필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앞으로 몇 차례 더 기준금리를 0.5%포인트씩 올릴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의사록은 "모든 참석자는 물가 안정을 복원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는 강한 약속과 의지를 재확인했다"면서 "이를 위해 위원회가 기준금리 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를 통해 신속히 통화정책 스탠스를 중립적으로 옮겨야 한다는 데 참석자들은 동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연준은 또 "참석자들은 좀 더 중립적인 통화정책 스탠스로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이들은 진화하는 경제 전망과 리스크에 따라 긴축적인 정책 스탠스가 적절해질 것이라고도 언급했다"고 전했습니다.
반응형
'시사(Issue)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신조어*(베커플레이션, 런치플레이션, 푸틴플레이션) (0) | 2022.06.03 |
---|---|
반도체 공급 부족의 이유는? (0) | 2022.05.23 |
인플레이션 공포로 인한 나스닥 폭락(-4.7%) 그리고 경제 이야기 (0) | 2022.05.19 |
미국주식 입문한 주린이분들 가이드 (0) | 202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