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렉스 루터는 누구인가


렉스 루터는 DC코믹스의 대표 슈퍼빌런 중 한 명이며, 슈퍼맨 최대의 적이다. 초능력은 없지만 천재적인 지능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억만장자가 된 인물이다. 그는 거대 기업 렉스코퍼레이션의 CEO인데,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본인의 노력으로 재벌이 된 자수성가형이다.


사회에 많은 공헌을 하는 등 슈퍼맨이 나타나기 전까지 렉스 루터는 빌런이 아니였다 (미국 코믹스의 특성상 다양한 설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슈퍼맨이 등장하기 전에도 부정한 방법을 쓰는 부자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슈퍼맨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영웅으로 칭송 받게 되자 슈퍼맨을 향한 광적인 열등감과 집착에 사로잡히게 된다. 렉스 루터는 본인의 노력으로 지금의 자리까지 올라왔는데, 아무런 노력도 없이 사람들로부터 엄청난 사랑을 받는 슈퍼맨의 존재를 참을 수 없었던 것이다. 슈퍼맨의 엄청난 힘이 인류에 위험하다는 생각과 그를 향한 광적인 집착과 열등감으로 인해 렉스 루터는 슈퍼맨을 없애버리는 것에 총력을 다 하게 되며 빌런이 된다.

 

 

2. 렉스 루터의 등장과 활약


렉스 루터는 1940년 4월 액션 코믹스 #23에서 처음 등장했다. 초창기 렉스 루터는 지금처럼 대머리가 아니라 빨간 머리의 천재 과학자였다. 렉스 루터의 모습이 바뀐 것에는 몇 가지 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DC코믹스 직원이 실수로 렉스 루터를 다른 빌런인 울트라휴머나이트로 착각하여 렉스 루터가 울트라휴머나이트의 모습으로 코믹스에 실리게 되었는데, 이게 팬들의 인기를 얻으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렉스 루터는 오랜 역사를 지닌 캐릭터인 만큼 지금까지 다양한 활약을 해왔다. 그는 미국 대통령이 되기도 하고, 뉴52(DC 코믹스 세계관 리부트)에서는 슈퍼맨의 클론인 슈퍼빌런 비자로를 탄생 시키기도 한다. 렉스 루터는 자신이 개발한 파워 수트를 착용하여 슈퍼맨과 실전에서 대결을 펼치기도 하며, 슈퍼맨의 약점인 크립토나이트라는 물질을 활용해 슈퍼맨을 수없이 곤경에 빠뜨려온 바 있다.


3. 렉스 루터의 매력


렉스 루터는 많은 사랑을 받는 대표적인 슈퍼빌런 캐릭터이며, 많은 팬들은 그를 슈퍼맨 최대의 적으로 뽑는다. 그의 매력 중 하나는 바로 그의 천재적인 지능일 것이다. 그는 자신의 천재성을 통해서 렉스코퍼레이션이라는 거대 기업을 설립하여 DC코믹스 세계관에서 제일 가는 부자 중 한 명이 되었고, 축적한 부와 기술력을 이용해서 슈퍼맨에게 필적하는 슈퍼빌런이 될 수 있었다. 이런 그의 또 다른 매력은 바로 그가 슈퍼맨을 바라보는 관점이다. 슈퍼맨이 절대적인 선, 인류의 수호자로 그려지는 반면에 렉스 루터는 슈퍼맨을 언제든지 인류를 멸망시킬 수 있는 시한폭탄과 같은 존재로 바라본다. 렉스 루터는 항상 슈퍼맨의 존재에 대해서 역설하는데, 그것은 바로 슈퍼맨이라는 외계인이 인류가 지니고 있는 가능성을 빼앗아 가고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더 이상 본인들이 무언가를 해결하려 들지 않고 슈퍼맨에게 의지하기만을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이, 슈퍼맨의 존재 자체를 부정해버리는 것이 렉스 루터의 큰 매력이다.

 

 
4. 렉스 루터는 왜 슈퍼맨 최고의 악당인가


슈퍼맨은 둠스데이, 브레이니악, 비자로, 다크사이드를 비롯한 많은 강력한 적들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중에서도 렉스 루터가 슈퍼맨 최고의 악당인 점은 바로 그가 거의 모든 면에서 슈퍼맨과 대조적인 존재라는 것이다. 슈퍼맨은 초인적인 힘과 능력을 비롯해서 인간이 가지지 못한 능력을 지닌 반면, 렉스 루터는 지능, 과학, 정치력, 자금력과 같은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수단을 동원해서 슈퍼맨과 맞선 다는 점이다. 이러한 슈퍼맨과 대조적인 측면이 렉스 루터가 다른 빌런들에 비해 슈퍼맨 최고의 악당으로써의 상징성을 갖게 해준다.

 

5. 영화, 미드 속 렉스 루터 캐릭터


영화, 드라마 등으로 실사화된 렉스 루터 중 가장 유명한 건 리처드 도너 감독의 <슈퍼맨>(1978)과 그 후속작들에서 성격파 배우 진 핵크만이 연기한 캐릭터일 것이다. 원작 코믹북에선 천재적인 지능과 카리스마로 초인 슈퍼맨에 대적하는 인물이지만, 영화에선 다소 허황된 개그 캐릭터로서 가벼운 인상을 준다. 악당으로서의 목표도 거창한 사상 혹은 주의가 아닌, 그저 돈벌이에 불과하며 그에 걸림돌이 되는 슈퍼맨을 비열한 수단으로 제거하려는 정도에 그친다. 이러한 캐릭터의 성향은 나중에 브라이언 싱어 감독이 연출한 <슈퍼맨 리턴즈>의 렉스 루터(케빈 스페이시가 연기)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핵크만과 스페이시 둘 다 훌륭한 배우로서 야비한 악당 연기를 맛깔 나게 펼쳤지만, ‘슈퍼맨의 숙적’에는 한참 모자라 보인다.

 

위에서부터 케빈 스페이시, 마이클 로젠바움(스몰빌), 진 핵크만


드라마 <스몰빌>(2001~2011)에선 설정이 대폭 각색. 나중에 슈퍼맨이 되는 클라크 켄트와 어려서부터 친구이자 라이벌인 입장으로 등장한다. 정에 굶주리긴 했어도 본래는 건실한 청년이지만 대기업 총수인 아버지 라이오넬 루터의 영향으로 점차 냉혹하고 야심적인 인물로 변모. 클라크 켄트와의 우정도 애증으로 바뀌어 전 세계를 멸망시키려 하는 등 극단적인 대립을 하게 된다.

 

 

출처 : 익스트림 무비 '리들러' 님

반응형
반응형

1. 탄생

 

DC코믹스는 1934년, 내셔널 얼라이드 퍼블리케이션스(National Allied Publications)라는 이름으로 출판 사업가 말콤 윌러-니콜슨에 의해 설립되었다. 내셔널은 당시 출판 중이던 세개의 코믹북 시리즈 중 가장 인기가 많았던 디텍티브 코믹스(Detective Comics)의 약자를 따서 내셔널이라는 이름보다는 DC코믹스라 불렸다(DC코믹스로 회사의 정식 명칭이 바뀐 것은 1977년이다).

 


1938년, DC는 새로운 코믹북 시리즈인 액션 코믹스(Action Comics)를 출시하면서 슈퍼맨이라는 슈퍼히어로와 슈퍼히어로 장르의 탄생을 알렸다. 슈퍼맨의 폭발적인 인기로, DC는 배트맨을 비롯해 원더우먼, 플래쉬, 그린랜턴 등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를 줄줄이 탄생시키며 더욱 많은 인기를 얻게 되었다. DC의 슈퍼히어로들은 코믹북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현재 DC코믹스는 마블 코믹스와 함께 미국 최대의 코믹북 출판사이다.

 

2. 슈퍼히어로의 인기 하락과 재탄생


슈퍼히어로 장르는 탄생과 함께 많은 인기를 얻었지만, 1940년대 말에 이르러 그 인기가 사그라들었다. DC는 SF, 웨스턴, 코미디, 호러, 로맨스 등 다양한 장르의 코믹북을 출판하며 인기를 유지해나가고 있었다. 배트맨, 슈퍼맨, 원더우먼은 인기가 많은 캐릭터들이었기 때문에 계속 시리즈가 출판되고 있었지만, 다른 슈퍼히어로 시리즈는 폐지되었고 슈퍼히어로 장르는 더이상 독자의 시선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1956년, 쇼케이스(Showcase)라는 코믹북 시리즈를 통해서 DC는 슈퍼히어로의 부활을 시도한다. 기존의 슈퍼히어로 캐릭터였던 플래쉬를 SF적인 스토리와 새로운 코스튬으로 완전히 다른 캐릭터로 재탄생시킨 것. 이를 이어 DC의 수많은 슈퍼히어로들이(배트맨, 슈퍼맨, 원더우먼은 재탄생되지 않았다) 새로운 빌런들과 여러 요소들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세련된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DC 코믹스는 슈퍼히어로들을 한자리에 모은 슈퍼히어로 팀이었던 저스티스 소사이어티(Justice Society of America)를 새로워진 슈퍼히어로들과 함께 저스티스 리그(Justice League of America)로 이름을 바꿔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다시 한번 슈퍼히어로 붐을 이뤄냈다.

 

 

3. 스타일의 변화


오랜 역사를 지닌 만큼 DC코믹스는 시간과 함께 자신들의 스타일을 변화시켜왔다. 앞서 서술한 1950년대 중반에 시작된 슈퍼히어로들의 재탄생 시기에는 SF적인 요소를 가미해 사그라들었던 슈퍼히어로의 불씨를 다시 지폈다. 이 시기에 또다른 변화는 바로 코믹북의 내용과 분위기가 밝고 가벼워졌으며, 유머러스해졌다는 것이다. SF적인 요소들을 추가함으로써 슈퍼히어로들의 스토리를 보다 사실적으로 새롭게 그려냈지만, 반대로 전체적인 분위기와 스토리라인은 저연령층 독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밝고 때론 황당한 내용으로 바뀌었던 시기이다.


1970년대 접어들어 코믹북에 대한 심의기준이 완화되면서 DC는 가볍고 유쾌한 스타일을 뒤로하고 진지한 분위기와 성인 독자들에게 초점을 맞춘 스타일로 변화한다. 사회적 이슈를 전면으로 다루고, 보다 현실적인 내용들이 주를 이루게 되면서 스토리라인은 정교해졌다. 이러한 변화는 1980년대에 더욱 심화된다. 성인층에 맞는 정교하고 묵직한 스토리, 어두운 분위기, 폭력적인 액션이 DC코믹스의 주를 이루게 되었고, 이러한 스타일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정교해지고 깊어진 이야기만큼 코믹북의 그림 또한 예술적 가치가 높아지면서, 미국 만화계는 그래픽노블(Graphic Novel)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그래픽노블이란 ‘소설만큼 깊이 있는 내용과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그림들로 이루어진 코믹북’이라는 뜻으로, 예술성이 높은 만화를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4. 대표 그래픽노블


DC코믹스는 완성도 높은 수많은 그래픽노블을 선보여왔다. 배트맨의 초창기 시절을 다룬 <롱 할로윈>(The Long Halloween)은 영화 <다크 나이트>에 영향을 준 그래픽노블이다. 배트맨의 적들이 마피아 갱단에서 슈퍼빌런들로 완전히 대체되어가는 시기를 다루고 있다. 홀리데이 살인마라는 정체불명의 연쇄살인마가 휴일마다 마피아의 일원을 살해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배트맨은 홀리데이 살인마의 정체를 밝혀내는 과정에서 슈퍼빌런인 조커, 캣우먼, 리들러, 포이즌 아이비, 펭귄 등과 맞닥뜨린다. 또한 정의로운 검사였던 하비 덴트가 배트맨의 숙적 중 한명인 투페이스로 변하는 과정도 그리고 있다.


또 하나의 대표적인 배트맨 그래픽노블은 <다크 나이트 리턴즈>(The Dark Knight Returns)이다. 지금의 다크히어로인 배트맨의 모습을 본격적으로 정립시킨 작품이다. 배트맨이 슈퍼히어로로 은퇴한 이후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배트맨은 55살 때 10년간 은퇴한 상황이었지만, 고담시의 범죄율 증가와 자신의 내면의 분노를 외면하지 못해 다시 배트맨으로 복귀하며 벌어지는 일들에 대한 내용이다. 배트맨이 침착한 겉모습과 달리 내면에 분노와 광기로 가득 찬 인물이라는 것을 훌륭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또한 배트맨과 슈퍼맨의 대결을 볼 수 있다. 2016년 개봉예정인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이 이 작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DC의 또 다른 대표 그래픽노블은 <올스타 슈퍼맨>(All-Star Superman)이다. 이 작품은 신적인 존재의 슈퍼히어로인 슈퍼맨이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게 되는 내용이다. 슈퍼맨은 죽음에 앞서 자신의 개인적인 일상을 돌아보며, 자신의 삶을 하나씩 정리하기 시작한다. 이 작품을 통해 슈퍼히어로 슈퍼맨이 아닌 인간적인, 평범한 사람과 다를 바 없는 슈퍼맨의 모습을 볼 수 있다.

 

5. 대표 슈퍼히어로와 슈퍼빌런


DC의 대표 슈퍼히어로 중 한명인 슈퍼맨은 멸망 직전의 행성에서 아기 때 지구로 보내진다. 그는 가장 강력한 슈퍼히어로 중 한명이며, 정체를 숨기고 신문기자로 일하고 있다. 숙적으로는 그에게 병적인 열등감과 집착을 지닌 억만장자 렉스 루더, 그리고 강력한 초능력과 지능을 지닌 외계 행성의 인조인간 브레이니악 등이 있다.


또 다른 DC의 대표 히어로는 배트맨이다. 그는 어린 시절 부모가 골목길에서 강도의 총에 맞아 살해당한 억만장자 브루스 웨인이 정체를 숨긴 채 슈퍼히어로가 되어 범죄자들을 사냥하는 인물이다. 그의 숙적으로는 사이코패스 슈퍼빌런 조커와 교활하고 지능적인 펭귄 등이 있다. 슈퍼맨과 배트맨 외에 원더우먼을 비롯한 플래쉬, 그린랜턴, 아쿠아맨 등이 DC의 대표적인 슈퍼히어로들이다.

 

 

출처 : 익스트림무비 '리들러' 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