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새벽 나스닥이 폭락하였습니다. 2년만의 최대 낙폭입니다.
영국의 4월 물가상승률이 9%대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월마트, 타겟 등 미국의 대표적인 유통업체가
인플레이션을 경고하면서 대규모 매도세가 촉발 되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그리고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중국의 방역 조치가 인플레이션 악화 가능성을 키우는 요인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월가의 투자자 제레미 그랜섬은 현재 하락세가 2000년 닷컴 버블 때보다 안좋다며, 지수가 현 수준의 2배까지
떨어질수 있다고 경고하였습니다.
경제 이야기
- 넷플릭스 150명 해고를 하였습니다. 최근에 성장이 정체된 OTT들은 생존 자구책을 강구 하고 있습니다. 최근 넷플릭스가 실적발표후 40%이상 폭락하였습니다. 2분기에도 가입자 수가 200만명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실적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HBO, 아마존, 애플 등등 OTT경쟁이 심해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여기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웨이브, 티빙, 왓챠 등등)많은 OTT서비스가 생겨나면서 경쟁이 심화되는 모습이고 그에 따라 주식에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실적 개선을 위해 계정공유를 막고 시리즈를 한번에 공개하는게 아닌 일주일에 몇편씩 공개하는 방식으로 개선할려고도 하고 있는데요 이게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 삼성전자는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방한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일정 첫날 삼성전자 평택공장을 찾을 것으로 알렸습니다. 이날 일정에는 미국의 세계적 반도체 기억인 퀄컴 CEO도 동행하는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선되고 나서부터 지속적으로 삼성전자와 전략적 커미션을 만드는것처럼 보입니다.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난속에서 미국의 전략일까?
반응형
'시사(Issue)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신조어*(베커플레이션, 런치플레이션, 푸틴플레이션) (0) | 2022.06.03 |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1.50% → 1.75% 그리고 미국의 금리 인상 (2) | 2022.05.26 |
반도체 공급 부족의 이유는? (0) | 2022.05.23 |
미국주식 입문한 주린이분들 가이드 (0) | 2021.09.09 |